본문 바로가기

척추센터

구월정형외과 목디스크 스마트폰 사용이 원인?

 

안녕하세요 구월정형외과 대찬병원입니다.

현대사회가 정보화시대로 발전하면서 연령대 구분 없이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pc등 스마트기기 사용량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스마트기기 사용이 목디스크의 주범일 수 있습니다. 평소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과도하게 숙이거나 컴퓨터 사용 시 자신도 모르게 턱이 앞으로 당겨져 있는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게 되면 경추에 과도한 부하를 일으켜 잘못된 자세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목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의 정확한 명칭은 추간판 또는 수핵탈출증입니다. 목디스크가 뒤쪽으로 탈출하게 될 경우 척수신경을 직접 압박하거나 신경자극으로 인한 통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목통증은 장기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머리 무게가 앞으로 쏠리고 뒷목을 잡아주는 인대와 근육의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어 이 동작이 반복되면서 점차 목이 나무토막처럼 뻣뻣해져 일자목으로 변형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일자목이 더 나빠지면 목이 역c자 형태인 거북목으로 변형되어 통증이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후 목이 뻣뻣하고, 어깨가 자주 뭉치며 뒤통수가 당기거나 팔이 자주 저린 경우, 손에 힘이 자주 빠지는 경우, 두통이 심해지고 잘 때 많이 뒤척거리거나 팔과 손의 저림 때문에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등의 증세가 있다면 목디스크 증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만약 목디스크가 심한 경우 척수에 손상을 주어 다리에 마비가 올 수 있기때문에 구월정형외과 대찬병원에 방문하옂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목디스크가 의심될 경우 구월정형외과에서 이학적검사, 신경학적검사, x-ray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를 토대로 만약 목디스크가 의심되면 CT, MRI 촬영 등 을 통해 정확한 손상부위를 확인하여 진단하고 있습니다. 대찬병원은 더욱 정확한 목디스크 진단을 위해 최신 첨단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비수술 보존치료인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를 진행하지만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나 통증이 심한 경우 구월정형외과에서 비수술치료인 신경성형술, 신경차단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인공디스크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위의 목디스크 증상을 잘 확인하여 증상이 나타날 경우 대찬병원으로 내원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