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상 중년층에 접어들게 되면 근골격계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특히 갱년기가 시작되는 50대 이상은 호르몬이 불균형해지면서 골밀도가 낮아지고 척추 관절에 부상을 입기도 하는데요. 척추가 노화나 외부에 충격을 받으면 위쪽의 척추뼈가 아래쪽의 척추뼈 보다 앞으로 빠져나와 척추 신경을 건드리는 척추전방전위증에 노출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앉았다 일어설 때,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또한 오래 서 있거나 장시간 보행 시 허리와 엉치뼈 부근, 무릎 밑 등이 아픈 것이 특징입니다. 더불어 하반신이 저리거나 아프고 당기는 증상도 나타나며, 다리 근육이 가늘어지고 힘이 약해집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을 스스로 진단해보는 방법 중 하나는, 허리를 반듯하게 편 상태에서 척추 뼈를 만지면 특정 부위가 툭 튀어나온 것처럼 층이진 것이 느껴지고 통증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주사요법, 운동, 도수치료,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보존치료를 통해서도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다만 이미 증상이 악화되어 간단한 일상생활조차 어려운 상황이라면 척추유합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척추유합술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누르는 병변을 제거하여 제거된 공간에 케이지를 삽입하여 디스크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뼈가 자라나서 유합되게 만드는 수술을 말하는데요. 기존의 큰 절개 수술과는 달리 작은 피부절개 후 가느다란 내시경을 통해 근육 손상의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척추불안정증이나 척추전방전위증 등의 척추 질환 환자에게 널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소한의 절개만 이루어져 근육 손상이 적어 통증과 합병증이 적습니다.
대찬병원은 풍부한 척추 내시경 임상 경험과 성공적인 내시경 수술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환자분들께서 만족하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척추 주변 근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스트레칭을 자주하여 허리에 부담을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척추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척추전문병원에서 허리 통증 치료 체계적으로! (0) | 2021.05.05 |
---|---|
척추재활병원, 치료 이후에도 꾸준한 재활 필요합니다 (0) | 2021.04.27 |
대표적인 척추 불균형 질환, 척추측만증치료 (0) | 2021.04.20 |
척추관협착증치료방법,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까? (0) | 2021.04.16 |
허리디스크재수술 없도록! 치료 이후 생활 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