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절센터

무릎연골 손상 시, 흉터 및 통증 적은 무릎관절내시경 치료

 

 

 

일상생활 속에서 무릎 통증을 경험하는 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입니다. 등산이나 축구, 테니스 등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즐긴 후, 오래 서 있을 경우, 장시간 걷거나 뛴 경우, 길가에 넘어져 무릎 관절 타박상을 입었을 경우 무릎 통증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단순 타박상이라면 휴식을 취하거나 파스, 소염제 등을 활용하여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무릎 관절 또는 주변 근육 및 인대 손상이라면 무릎 통증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무릎 연골 손상 질환에는 반월상연골파열이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파열이란?

 

 

 

무릎 관절 속에 위치한 반월상연골판은 움직일 때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구조물입니다.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해주는 부분으로 작은 충격에도 파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니다. 직접적인 충격 외에도 무릎이 뒤틀리거나 꺾이는 부상, 퇴행성 변화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파열 시 증상 확인하세요!

 

 

 

반월상연골판 파열 시 주요 증상으로는 무릎 통증을 비롯하여 무릎 관절에 물이 차오르는 느낌, 무언가 걸리는 느낌 등이 있습니다. 또한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다거나 계단을 내려갈 때 주저 앉을 것 같은 느낌,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 등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연골판이 손상되면 무릎 연골에 가해지는 압력이 점차 커져 연골 손상도 더 빨라질 수 있어 빠른 시일 내에 치료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정밀 진단과 1:1 맞춤 치료 계획

 

 

반월상연골파열은 진단 시 관절선을 눌러 통증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어느 정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다만 다른 관절질환과 마찬가지로 X-Ray 촬영만으로는 찢어진 부위의 크기, 모양 정도를 확인하기 어려워 이때는 이학적인 검사를 토대로 MRI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니다.

 

부분 파열이나 반월상연골 부위 중 바깥쪽이 파열된 경우라면 보존적 치료로도 호전이 가능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를 환자 반월상연골판 손상 정도에 맞춰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판 안쪽이 파열이 발생했다면 안쪽은 혈액순환이 아닌 관절액에서 영양을 공급받다 보니 보존적 치료로 증상 호전이 어려워 이때는 관절내시경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절개부위 작아 회복 빠른 관절내시경 수술

 

 

무릎관절내시경 수술은 통증이 발생한 부위에 약 1cm 미만 최소로 절개 후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해 병변 원인을 해결하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입니다.

​절개 부위가 작아 출혈이나 통증이 적고 빠른 일상 회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고화질 내시경으로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수술을 진행해 병변 원인을 더 정확히, 면밀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활치료도 치료의 과정, 250평 스포츠메디컬센터

 

 

반월상연골판 수술 치료 후에는 체계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무릎 관절 가동 범위 회복과 근력 회복을 진행해주어야 일상 복귀 시 무리 없는 활동이 가능합니다. 대찬병원은 250평 스포츠메디컬센터에서 물리치료사와 운동 교육사가 회복 속도에 맞는 재활치료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치료 후에도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생활습관을 개선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양반다리 자세나 쪼그려 앉는 것은 피하고 무릎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체중조절을 해주는 것도 예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