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척추센터

인천신경외과, 허리 통증 원인! 과연 중장년층만의 전유물일까?

 

 

허리 통증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면 대부분 허리 디스크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나이가 높을수록 허리 디스크보다는 척추관협착증이 가장 흔하게 발병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방치하면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진행을 권장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를 둘러싼 인대와 근육이 퇴행성 변화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을 압박하여 신경을 누르므로 다리 통증과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50~60대 연령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격렬한 스포츠를 즐기는 이들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외상으로 인해 손상을 입은 젊은 세대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통증보다 다리 통증이 주되게 발생합니다. 척추관을 지나가는 신경은 다리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나가는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통증부터 먼저 시작되지만 점차 무릎까지 퍼지며 오랜 기간에 걸쳐서 증상이 서서히 진행됩니다.

다리 통증과 저림 증상으로 인해 장거리를 걷는 것이 힘들어지며 앉거나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 구부린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통증으로 걷기 가능한 거리가 점차 줄어들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이 발생하게 됩니다.

 

 

 

대찬병원에서는 먼저 진료와 상담을 통해 척추관협착증이 의심될 경우 X-ray, CT, MRI를 사용하여 진단하고 있습니다. 정밀한 진단 후 환자의 증상에 따라 1:1 단계별 치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초기 단계라면 가장 우선적으로 허리 교정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보존적인 치료로 효과가 없는 경우, 비수술적인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인 치료를 꾸준히 진행함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비수술적 치료에도 개선이 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심한 허리 통증과 다리 통증 및 저림 증상, 대소변 장애까지 발생한다면 이때는 척추내시경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척추내시경은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수술로 병변 부위를 약 1cm 정도 최소의 크기로 절개하여 각각 채널을 통해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고화질 내시경과 수술 도구를 삽입한 후 병변의 원인이 되는 부분을 해결하는 수술입니다.

 

 

 

척추내시경 수술은 내시경으로 병변 부위를 정밀히 확인하는 동시에 치료하기 때문에 정확성과 안정성이 높으며, 통증과 근육 손상이 적어서 고령의 환자나 만성 질환자분들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척추내시경 수술 후에도 흉터가 작아 비교적 회복이 빠르며 입원 기간도 기존보다 줄일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허리 운동성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재활치료 또한 중요합니다. 대찬병원에서는 스포츠메디컬센터를 운영하여 풍부한 치료 경험을 갖춘 운동 교육사가 단계별 1:1 맞춤 재활치료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구부정하게 하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 지속되면 더욱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허리를 구부리면 통증이 사라진다고 해서 평소 구부정한 자세 습관을 갖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의 체력맞는 운동을 통해 허리 근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대찬병원의 척추내시경 수술 과정 영상!

 

 

 

▼ 국가대표 핸드볼 조하랑 선수의 척추내시경 치료부터 재활까지! 영상을 통해 확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