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과/검진센터

인천정형외과 근전도검사란 무엇인가요?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란?


신경 자극에 대한 근육의 반응을 전기적 변화로 감지하여 검사하는 방법 인데요. 근육 자체에는 항상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바늘이나 전극 등으로 말초신경의 문제까지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하고 근육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근전도 검사로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근전도 검사에는 두가지의 종류로 나뉘어 지는데요. 근육 내 근전도 검사는 바늘을 이용하여 근육을 찔렀을 때의 반응으로 근전도 검사를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하게 나타나는 근전도 검사 방법이고 표면 근전도 검사는 피부에 전극을 붙여 자극하여 근전도 검사를 하는 방법 입니다. 정확성은 근육 내 근전도 검사보다는 떨어지지만 불편함이 적고 활동적 상태에서 감사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근전도 검사 방법은 무엇인가요?


근전도 검사는 검사전 병력 청취 및 신경학적 검진을 먼저 받게 됩니다. 이는 문제가 되는 부위를 정확히 알아야 불필요한 근육 검사를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의 근육은 다양하고 바늘로 인한 통증과 출혈,감염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이후 대개 근전도 검사전 신경전도 검사를 시행한 후 누운 상태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힘을 빼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시면 됩니다. 바늘이 들어가면서 통증이 느껴질 수 있으나 근육을 적절히 이와,수축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됩니다. 이러한 검사를 위치를 바꿔 이동하며 같은 방법으로 검사하게 됩니다.







손이 저리고 아프시거나 다리가 저리고 아프실 때 근전도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으시며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사고 등에 의한 손강으로 손목터널 증후군, 팔꿈치 터널 증후군 또는 운동 신경원의 질환인 루게릭 병, 근육이 손상되는 염증선 근염이나 대사성 근염 등이 신체 여러 곳의 금육의 힘이 약화되는 질환 등이 근전도 검사로 인해 진단 가능하게 됩니다. 신경계의 질환은 빠르고 적절한 대처가 향후 치료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증상이 의심되신다면 방치하지 마시고 정확한 진단을 통에 빠르게 치료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