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연골판파열, 일상 속에서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하여 밖에서 운동을 하지 못하고 집 안에서 운동을 하는 홈트레이닝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홈트레이닝을 하게 되면 자신의 신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태로 무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부상 위험이 있는 부위는 어디일까요? 무릎입니다. 무릎 내부에는 반월상연골판이라는 부드러운 조직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가벼운 충격에도 파열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월상연골파열은 무릎 내부에서 충격을 흡수해 주는 쿠션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넙다리뼈와 정강뼈 고평부 사이에서 알파벳 C자형 반달 모양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섬유연골성 조직으로 외면은 두껍지만 내면을 얇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스포츠 활동을 가볍게 하는 것이 아닌 무리하게 하는 사람들에게 무릎연골판파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노년층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은 작은 충격에도 손상될 수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회전, 정지를 하는 경우에도 반월상연골파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질환이 발생하게 되면 무릎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런 통증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평소 아무렇지 않게 했던 행동들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무릎에 붓기와 시큰거림을 느낄 수 있으며 증상을 방치하게 된다면 퇴행성관절염을 악화될 수 있습니다.
정도가 심하지 않고 경미한 파열 정도라면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운동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파열 정도가 심하고 지속적인 비수술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관절내시경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이란 손상된 관절 부위에 내시경을 삽입해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말하는데요. 실시간으로 손상 부위를 확인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손상 부위를 최소한으로만 절개하여 통증이나 흉터가 적습니다. 대찬은 풍부한 수술 경험과 노하우로 다져진 의료진이 포진하여 환자의 관절 상태와 과거 병력 등을 정확하게 판단 후 치료를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