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심할때, 다리 저림까지 나타난다면 협착증 의심
나이가 들면 이곳저곳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퇴행성 변화에 가장 취약한 부위로 알려진 척추도 예외일 수 없는데요. 노화가 진행되면 추간판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뼈 돌기가 자라고 인대도 두꺼워지게 되는데, 이 때 인대가 너무 두꺼워지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척추관협착증이라는 질환에 노출이 될 수 있습니다.
척추관은 경추, 흉추, 요추, 꼬리뼈까지 이어지는 척추뼈 중앙의 공간으로 신경의 집합체인 척추가 지나가는 통로인데요. 이러한 척추관이 공간이 좁아지면 통증이나 하반신에 감각 마비 등까지 초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척추 주변 조직의 퇴행에 따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 밖에도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게 태어났거나 과격한 운동을 즐겨하는 이들이 외상을 입는 경우 등의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리통증심할때
척추관협착증은 단순 허리디스크와 달리 추간판 손상뿐만 아니라 허리 관절의 퇴화와 척추 근육 약화가 동반되기 때문에 허리를 젖히면 오히려 통증이 심해지고 구부리면 통증이 완화되는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때문에 해당 질환에 노출된 분들은 꼬부랑 할머니같은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고, 또 심하게는 다리에 저림 증상이 심해져 보행이 버거워질 수 있습니다.
초기에 척추관협착증을 발견하여 치료할 시 도수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 요법을 통해서도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방치하여 배뇨장애, 하반신 마비 등 중증으로 이어진 경우에는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척추내시경은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에 작은 구멍을낸 뒤 내시경과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통증의 원인을 찾아 제거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절개 부위가 작아 흉터와 통증에 대한 부담이 적고 척추 주변 근육의 손상이 적어 척추가 약해지지 않습니다. 더불어 각종 치료에도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척추 질환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합니다.
대찬병원에서는 척추 분야를 중심으로 오랜 경력으로 다져진 의료진과 전문 재활치료사와의 협진을 통해 치료 이후에도 환자별 회복 속도에 맞는 체계적인 재활과 관리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수술 자체가 성공적으로 끝났다 해도 척추는 재활이나 관리를 소홀히 하면 수술 부위에 다시 염증이 재발할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인데요. 수술 후에는 허리의 움직임과 근력이 감소할 수 밖에 없으므로 수술 이후에도 재활 과정을 통해 근력을 기르고 유연성을 강화시켜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