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어깨 증상에 맞는 오십견치료방법은?
어깨는 움직임이 잦은 부위인 만큼 부상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특히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이 나타나 어깨 질환을 주의해야 합니다. 이런 환절기에 주의해야 할 질환은 유착성 관절낭염이 있는데요. 흔히 오십견이라고 불리는 만큼 50대의 발병률이 높은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삼십견, 사십견이라고 불릴 만큼 젊은 층에서도 안심할 수 없는 질환이 되었습니다.
오십견은 관절을 감싸주는 주머니에 염증이 생겨 주변 조직이 딱딱해져 어깨가 굳고 운동 범위가 감소하는 질환입니다. 별다른 이유 없이 50대 이후에 발병한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지만 의학적 용어로는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합니다. 오십견이 발생하는 원인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특발성 동결견, 당뇨, 갑상선, 흉곽 내 질환, 외상 등에 의해 나타나는 이차성 동결견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십견의 주요 증상은 특별한 외상이 없어도 어깨 관절 부위에 둔통이 시작되어 점점 관절 운동 범위 제한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천천히 어깨가 결리는 듯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어깨 전체를 움직이기 어려울 정토로 통증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혼자 옷을 입고 벗기 힘든 경우, 세수할 때, 머리를 감을 때 등 간단한 일상적인 동작이 어려워집니다.
오십견은 뼈나 인대의 문제가 아니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다고 생각해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오십견이 저절로 낫기 까지는 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뿐더러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만성 어깨 통증, 어깨 움직임 제한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조기에 적극적인 치료받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오십견치료방법
오십견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충분히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와 주사치료를 통해 염증을 줄여주고 관절 운동 범위 향상을 위한 운동 재활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어깨 기능을 호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체외충격파 치료는 수술이나 절개 없이 비수술적 방법으로 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1,000회에서 1,500회 정도의 강한 충격파 에너지를 집중시켜 염증과 통증을 줄여주면서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방치한지 오래되었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해 관절낭을 넓혀주고 염증을 제거하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대찬병원 찾아오시는 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