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결절종 꼭 치료받아야 할까요?
손목결절종은 손목에서 손바닥쪽 손등쪽, 혹은 손가락, 발목에도 생기는 물혹을 말합니다.
관절을 싸고 있는 막이 부풀어 올라 그 안에 관절액이 고여서 생깁니다.
피부 밑에서 부풀어올라 덩어리처럼 만져지며 대개는 부드럽습니다.
크기는 콩알만한 것에서 부터 작은 알밤크기만한 것 까지 다양합니다.
피부에서 튀어나와 보기 흉하다는 것과 혹이 만져진다는 것 외에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하지만 물혹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주위 조직이 압박되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목결절종은 물혹의 일종이기 때문에 내부에 끈적끈적한 액체성분이 들어있어
혹 가까이 불빛을 비추어 보면 빛이 투과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별로 아프지는 않지만 모양이 보기 싫거나, 손목 바닥에 생긴 경우
불편함이 있다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손가락 마디에 물혹이 생기면 간혹 피부가 얇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가락마디 뼈의 날카로운 모서리 때문에 마디를 둘러싼 막이 닳아
마디 안에 있던 액체가 흘러나와 발생됩니다.
정확한 발병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외상을입거나 손을 과다하게 사용하였을 때 나타난다고 보여집니다.
손목결절종이 커지지 않고 통증이 없다면 그냥 놔둬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손목의 혹이 튀어나오지 않으나 손목이 아픈 경우에도
결절종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 위와같은 상황인 경우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혹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결절종진단을 받는 경우 통증이 있다면 제거하는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비수술치료로 결절종에 압력을 가해 터트리거나,
주사기로 혹 안의 물을 빼내는 방법도 있지만 재발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절종을 제거하는 수술은 간단한 수술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박 2일 혹은 당일퇴원이 가능한 수술적치료를 받는다면
보존적 치료방법보다 더욱 확실하게 손목결절종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손목 결절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출신 의료진 등
각 분야별 전문의의 알맞는 체계적인 치료로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